-이종소재 접합/내구해석 기술개발
[직무상세]
기존 체결 및 이종소재간 기계적 체결(미래 모빌리티 포함) 관련 해석 기술 개발 및 내구 분석 업무 수행하며, 생산설비/체결 관련 내구해석 기술 개발 및 내구평가 정합성 인자 분석 업무도 진행합니다.
■ 이종소재 체결해석
· 이종소개간 기계적체결해석 및 내구/크랙 분석
· 용접(스폿, 레이저브레이징, CO2 등) 해석 및 분석
· 차체부품 기계적체결/용접시의 물성 개발
■ 미래 모빌리티 체결해석 기법 개발
· 미래 모빌리티(EV, PBV, AAM, 자율주행 ROBOT 등)의 조립/체결관련 기술 개발
· 최적 설계/공정 최적화 기법 개발
■ 내구해석 기법 개발
· 생산설비의 체결/용접부위의 내구해석 및 기술 개발
· 설비 내구평가 결과와 해석결과 비교하여 정합성 영향 인자 분석
-스마트 물류 완성차 무인이송 기술개발(주행제어)
[직무상세]
완성차 무인이송을 위한 로봇/차량 구동 제어를 위한 S/W 기술 개발 업무를 진행합니다.
■ 차량 원격 제어 S/W 개발
· 로봇/차량 구동제어 S/W 개발 (C++, ROS2, Motion Planning, MPC)
· 로봇 Navigation S/W 개발 (C++, ROS2, Path Planning, MPC)
· 클라우드 연동 로봇/차량 제어 개발 (C++, MQTT, Kafka, Remote Control)
-전동화/DX 선행생산기술
[직무상세]
전동화 부품의 기능/구조 검토 및 시험 검증을 통해 양산성 확보 방안 설계부문 제시 및 도면 반영을 확인하고, 이후 제품 양산단계 제조 데이터 분석(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해 설비/제조/품질스펙 표준화를 제안하는 업무를 진행합니다.
■ 전동화 부품 분야
· 전동화 부품의 구조 검토 및 기능/성능 검증
- PE모듈, 구동모터, 감속기, EWP, 전력변환부품 등 부품 구조 분석 및 품질 검증 업무 수행
- 배터리(BSA, BSM) 등 부품 구조 분석 및 품질 검증 업무 수행
- 배터리, PE시스템, 인버터 EOL 및 내구성 시험
■ DX 분야
· 전동화 부품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공정품질 빅데이터 분석
- 배터리, PE모듈 공정품질 데이터 및 상관성 원인 분석
- 스마트팩토리 기반 배터리, PE모듈 제조 공정기술 개발 (딥러닝 활용 비전 및 공정 자동화)
-자동화제어 생산기술 (울산)
[직무상세]
생산 공장의 자동화 설비 제어 설계, 신기술 개발 및 설비 가동률 안정화를 위한 업무를 진행합니다.
■ 물류자동화 제어시스템 설계/시운전 및 검증
· 물류자동화(AGV) 차상 제어 설계/코딩, ACS 제어/시운전 및 프로젝트 총괄 관리
· 물류자동화(AGV, AMR, 자동창고) 물동량 시뮬레이션
· 물류자동화(ACS, AGV, AMR, 자동창고) 통합 S/W 검증 업무 수행
■ 정밀검사 비전시스템 설계 및 양산 프로젝트
· 차체, 도장, 의장샵의 차량 품질 및 사양 정밀검사 시스템 구축/기술 내재화
· 오픈형 비전시스템 확대 전개 위한 메이커 발굴 및 기술 커스터마이징
· 비전 데이터 활용 AI 알고리즘 개발 및 개선
-신차개발 생산기술 (성형)
[직무상세]
프레스공장 신차 양산 및 차량 강판 제조기술 개발 및 생산설비 설계 표준화 및 신차개발 설비 제작기술 개발 업무를 진행합니다.
■ 신공장 건설 및 양산공장 개선
· 신공장 건설 및 기존공장 합리화(개선) 위한 상세 검토/추진
- 공장 건설 투자비 산출, 공장 레이아웃, 공정수, 표준인원 및 공장 운영관리 프로세스 수립 등
■ 스마트팩토리, DX/신기술 업무
· HMC 프레스공장 품질/생산성 향상 및 신소재 개발
- 스마트 팩토리, DX, 판넬 자동 검사, 물류 자동화, 공장 자동화, 빅데이터, 신소재 등
■ 신차 대응
· 신차의 양산공장(프레스) 적용을 위한 공법 및 투자비 검토
· 선행단계의 차종별 투자비 검토 및 단계별 개발일정 관리
· 양산 초기 신차 품질 및 가동률/SPM 향상 활동
-신차개발 생산기술 (차체)
[직무상세]
신차 개발을 위한 신기술/신공 개발 및 적용(공법/시뮬레이션)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생산설비 설계 표준화 및 신차 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신차생산준비
· 신차의 양산공장 적용을 위한 공법 및 투자비 검토
· 선행단계의 구조검토, 설계개선 활동으로 원가 및 수익성 산출
· 양산 초기 신차 품질 및 가동률 향상 활동
■ 신공장 건설/설비개선/자동화
· 신공장 건설 및 기존공장 합리화(개선) 위한 상세 검토/추진
· 공장 건설 투자비 산출, 공장 레이아웃, 공정수, 표준인원 및 공장 운영관리 프로세스 수립 등
· 해외공장 건설 및 신차종 투입, CKD 현지 기술 지원 (설비 안정화, 품질 확보 등)
· 공법, 사양, 운영 계획 검토 수립
■ 신기술/신공법
· 자동화/친환경차 관련 신기술/신공법 및 빅데이터/AI 활용기술 개발 및 적용
- 3D스캔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탄소저감 기술개발
- 단축 공정 개발 등으로 원가 절감 추진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확대 적용
-무선설비 표준통신 프로토콜 개발
[직무상세]
HMG 생산공장 무선설비의 통신기술 표준화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업무를 진행합니다.
■ 무선설비 표준통신 프로토콜 개발
· HMG 생산공장 무선설비에 적용할 표준통신 프로토콜 설계 및 개발 (5G/LTE/WiFi 등)
· 다양한 Embedded 시스템 환경(Linux, RTOS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통신 프로토콜 설계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 프로토콜 검증 어플리케이션 개발
· 무선설비 표준통신 프로토콜 준수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 다양한 Embedded 시스템 환경에 맞는 검증 어플리케이션 개발
■ 스마트팩토리 커넥티비티 추진 전략 수립
· 무선 솔루션 기술 전략 및 로드맵 수립, 필요 기술 아웃소싱
· 스마트팩토리 관련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제어기 자동 검증 SW 개발
[직무상세]
단품 제어기/완성차 제어기 자동검증 S/W 개발 및 운영 업무를 진행합니다.
■ 단품 제어기 자동 검증 S/W 개발 및 운영
· 단품 제어기 진단로직 자동검증 S/W 개발 및 운영
· 제어기 진단 스펙 DB화 및 검증 결과 자동 레포트 기능 개발 및 운영
■ 버추얼 완성차 검증
· 단품 제어기 진단로직 DB 종합하여 버추얼 완성차 S/W 개발 및 운영
■ 완성차 제어기 자동 검증 S/W 개발
· 완성차 제어기 진단로직 자동검증 S/W 개발 및 운영
-스마트 물류 완성차 무인이송 기술개발(객체인지)
[직무상세]
스마트 물류 완성차 무인이송을 위한 비전/LiDAR 객체 인지 S/W 기술개발 업무를 진행합니다.
■ 객체/환경 인지 S/W 개발
· 비전 기반 객체 인지 및 추적 S/W 개발 (C++, ROS2, Yolo, OpenCV, Pose Estimation, Tracking)
· LiDAR 기반 객체 인지 및 추적 S/W 개발 (C++, ROS2, PCL, PointNet, VoxelNet, Pose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