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품질 - 안전관리
[직무상세]
■ 부서 안전관리 및 중대재해 예방 활동
- 중대재해 발생 위험공정 점검, 위험성평가, 투자, 개선
- 유해위험 기계기구 안전점검/검사 및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관리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및 안전지표 관리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업무, 위험성 평가업무 관리
- 안전관리지표 업무(KPI, 재해율, 안전관리수준평가제도 등)
- 산업재해 사후관리 (산재, 공상, 휴업치료 관리 등)
■ 부서내 안전점검
- 부서내 기계기구/장비에 대한 정기적 안전점검 및 개선
- 안전점검표준화 관리 및 전산시스템 운영
■ 안전교육 및 안전문화 관리
- 법정 안전교육 관리(정기/특별/채용시/작업내용변경/직무교육)
-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캠페인 운영 등
-품질보증 - 전동화
[직무상세]
■ 품질개선
- 전동화 차량 고전력시스템에 대한 시장 품질 문제점 원인 분석 및 개선업무
- 해외 권역 전동화차량 시장품질 개선 및 기술지원 활동
- 설계 및 부품, 제조 품질 향상 견인 및 육성 업무
■ 품질문제 시장조치 / 비용정책
- 친환경차량 고전력시스템 품질문제에 대한 최적의 시장조치 방안 개발 및 결정
- 연구소/협력사의 신뢰성공학 기반 검증 정착화 업무
- 보증수리비용 과다 발생 방지 위한 부품 보증정책 합리화 업무
■ 대외품질 개선
- 해외 권역 대외지수 (북미IQS/VDS/CR/유럽NCBS) 품질 평가 및 개선항목 발굴
- 친환경차량 제어시스템에 대한 대외지수 개선 전략 수립/이행
-소프트웨어 품질점검
[직무상세]
제어기 협력사 SW 관리체계 점검과 개선추진 및 과거차 품질문제를 분석하여 제어기 SW 품질가이드 제정
■ 제어기 협력사 SW 품질 점검
- 제어기 협력사 SW 프로세스, 인프라, 설계, 정적검증, 동적검증 등의 정합성 점검
■ 제어기 협력사 SW 품질육성 활동 지원
- 제어기 협력사 SW 품질문제 예방을 위한 보완점 검출 및 개선대책 지원
■ 제어기 SW 품질가이드 제정
- SW로 인한 필드 품질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재발 발생이 없도록 가이드 제정 및 수평전개 실시
-품질보증 - 파워트레인
[직무상세]
■ 품질문제 원인조사 및 개선
- 국내/해외시장에서 발생하는 품질문제 동향 파악
- 품질문제 근본 원인 조사 및 개선안 수립/ 검증 / 적용
■ 시장 대응 방안 수립
- 주요 시장 품질문제 및 고객 불만사항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 수립
- 관련 부문과의 지속적 협의를 통한 품질개선 활동 주도
■ 신차 탑재 파워트레인 품질확보
- 선행개발단계 파워트레인 과거발생 문제에 대한 재발 방지 대책 반영 및 유효성 점검
- 피워트레인 품질 변동점 확인 및 신뢰성 검증
- 신차 양산 초기 발생 클레임 원인 조사 및 긴급 개선
-신차부품품질 - 인포테인먼트시스템
[직무상세]
인포테인먼트시스템 신규 플랫폼/신기술 개발 품질 육성 업무/신차 개발단계 문제점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 수립/협력사 품질 육성
■ 사운드 검증 기법
- 앰프/스피커/차량환경 통합 음향 성능 검증 및 평가 방법 개발
■ 사운드 품질 개선
- 사운드 제어기 HW 구조 및 SW 로직 이해 통한 품질 이슈 개선
■ 신기술 품질 확보
- 완성차 사운드 특화 기술(ANC/VESS/ASD) 품질 육성
-안전품질
[직무상세]
■ 안전 품질 전략 기획
- 중대시민재해 예방 기획 및 경영층 보고
- 안전 품질 콘텐츠 개발 및 교육
■ 안전 품질 예방 점검
- 안전 품질 점검 및 예방 활동 시행
- 법규 의무이행사항 점검 및 개선관리
■ 시민 재해 대응
- 고객 안전사고 (결함)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
- 정부기관 개선/시행 명령 대응
-신차부품품질 - 전자
[직무상세]
■ 전장부품 품질확보
- 전장부품 S/W, H/W 신뢰성 점검을 통한 품질문제 개선
- 협력사 부품 제조 공정 점검
- 신규 개발 부품 양산 사용 승인
■ 신차 평가 및 개선
- 제어기 기능, 로직, 통신에 대한 평가 및 개선
- 자율주행, 디지털키 등 신기술 품질 검증
- 환경 영향성(전자파, 정전기, 온도 등) 및 국내/외 실도로 주행 평가
■ 해외공장 신차품질 확보지원
- 해외공장 신차 품질확보를 위한 출장 및 지원 업무
- 완성차 제조/검사 공정 점검 및 개선
-완성차 품질평가-전장, EV시스템
[직무상세]
■ 완성차 품질 평가
· 국내/해외 개발 차종에 대한 완성차 품질평가 및 검증
- 고객관점 완성차 오디트 평가 및 유관부문 협업하여 개선활동 추진
- 완성차 조건 시스템 품질 평가
■ 전장/EV 시스템 검증
· 신차 개발단계별 시스템 검증 및 개선활동 추진
- 전장/EV 시스템 평가 및 환경조건 반영한 개선활동 추진
- 연구소/구매/생산부문과의 헙업 및 리딩 역할 수행
■ 경쟁차 벤치마킹 및 해외공장 기술지원
· 개발초기 경쟁차 품질수준 분석 및 비교로 개발차량의 품질목표 설정
- 신기술/신사양 적합성 여부 및 신차 반영 확인
- 해외 개발차종 품질확보 및 단계별 품질평가 수행
-품질정보 - 안전
[직무상세]
무재해 달성을 위한 안전/소방/환경 부문 사업계획 수립/이행관리/점검/대책수립 업무 수행
■ 안전환경 경영을 위한 기획/관리
- 안전환경 사업계획 수립 및 실적관리
- 안전환경방침 수행 및 안전기획 업무
■ 품질 안전 무재해 달성 목표 수립 및 점검
- 품질 안전 무재해 달성 목표 수립
■ 안전 협의회 운영 및 교육 실시
- 사업부 안전 협의체 운영 및 안전교육 실시
-신뢰성품질운영
[직무상세]
■ 신뢰성 품질 업무 기획
- 신뢰성 과제 발굴/기획
- 신뢰성 개발 기준 정립 및 제도화 (내재화, 체계화 등)
■ 신뢰성 개발 기법/기술 정립
- 부품/시스템/차량 단위 신뢰성 개발 방법론 정립
- 고장물리 기반 고장메커니즘 정의 및 재현방법 개발
- 가속 수명/열화 시험 모델 개발 및 신뢰성 시험계획 수립 (고장시험, 무고장 시험 등)
- 필드 데이터 모니터링 기반 신뢰도 분석 및 품질 예측
- 신뢰도 목표 설정 및 할당 (차량 → 시스템 → 부품)
■ 신뢰성 개발/개선 업무 추진
- 신뢰성 공학 기반 신뢰성 개발 및 개선 업무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