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관리 및 분석 서비스(팀 프로젝트) 2024.11 – 2025.01
- 프론트엔드 팀을 리드하여 주간 작업 계획 수립 및 회고 주도. 주간 일기 분석 에러 99%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팀원 간 SQL 스터디를 주도하고 날짜 기준 필터링 쿼리 최적화
- 개발 효율성 향상을 위해 API 명세서 공유 및 MSW 도입을 주도하여 백엔드 의존성을 절감. 구형 모바일 기기에서도 서비스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Safari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해결
- 서비스 출시 전 서비스 완성도를 확보하기 위해 QA 주도.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하여 3일 간 20개의 이슈를 관리 및 해결
- Context API, Redux, Zustand, Tanstack Query 중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캐시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Tanstack Query 도입
- UI 컴포넌트가 많은 책임을 가지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Render Props, Compound Component 패턴을 학습.
-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고 역할을 분리함으로써 디자인 요구사항에 따라 재사용하기 쉬운 Compound Component 패턴을 도입하여 리팩토링 작업 주도하여 UI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개선.
LLM 프롬프트 공유 서비스 2025.06 – 2025.06
- 페이지 요청 수 제한 환경에서 서비스 중단 방지 및 요청 수 90% 절약 달성을 위해 브라우저 자동 로딩 비활성화. HTTP 프로토콜 지식을 바탕으로 프론트엔드 배포에서 캐시 규칙 최적화하여 캐시 비율 80% 달성
- 스트리밍 SSR 도입으로 첫 페이지 로딩 시간 400ms 이하, FCP 0.9초로 단축하여 더 빠른 사용자 경험 제공
- 고전 아키텍처에서 모듈 간 의존 관계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공학의 모듈화 설계 및 높은 응집도를 적용할 수 있는 기능 중심의 구조(Feature Sliced Design)를 도입하여 모듈의 재사용성 개선
- NextJS에서 서버, 클라이언트 모듈이 혼합되어 불러오지 못하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인덱스 파일을 서버, 클라이언트를 따로 분리하여 해결
정기 구독 결제 관리 서비스 2024.12 – 2025.03
- 서버 사이드 렌더링 및 Prefetch 최적화로 브라우저 렌더링 시간 50% 단축 및 Github Action 기반 배포 자동화로 배포 시간 30초 이하 달성
- 포켓베이스(Backend as a Service) 인증 트러블슈팅 및 쿠키 기반 교차 오리진 요청 처리로 서버 렌더링 안정성 확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