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러닝 플랫폼 품질 보증의 최전선 경험
학습 AI 도우미, 맞춤 학습 콘텐츠, 학습 진단 생성 등 최신 AI 기술이 접목된 학습 서비스의 품질을 직접 검증합니다. QA Engineer로서 단순 테스트가 아니라, AI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보증하는 핵심 역할을 경험하며, 생성형 AI 시대에 걸맞은 신규 품질 보증 방법론과 프로세스 설계 역량을 쌓을 수 있습니다.
프로덕트 중심의 협업과 문제 해결 역량
PO, 디자이너, 개발자 등 다양한 직군과 협업하며, 단순히 “버그를 찾는 사람”이 아닌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품질 파트너로서 일하게 됩니다.이를 통해 서비스 기획·운영 전반을 이해하는 QA Engineer, 나아가 제품 임팩트를 설계하는 시니어 QA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포도/마이라이트 학습/AI 서비스 프런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 과제 검증
- 신규 기능 및 개선 사항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 설계 및 실행
- 웹/모바일 환경에서의 기능·비기능 테스트 수행
- 발견된 이슈에 대한 정밀 버그 리포트 작성 및 재현 시나리오 설계
- PM·개발자·디자이너와 협업하여 품질 이슈 해결 및 사용자 경험 개선
- 사용자 리포트를 기반으로 이슈 원인 분석 및 우선순위 제안
- 반복 업무 자동화를 위한 QA 효율화 툴·프로세스 제안 및 실행
- 웹/앱 B2C 서비스 QA 경력 5년~
- React 웹 및 RN 앱 QA 경험이 있으신 분
- API 및 DB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결함 및 오류 분석이 가능하신 분
- 테스트 범위 설정, TC 작성 및 수행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경험해본 분
-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 다양한 구성원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는 분
- 논리적 사고 및 분석 능력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하신 분
- 장애 발생 시 신속하고 책임감 있게 대응할 수 있는 분
-Jira, Confluence, Notion 등 협업·이슈 관리 도구 활용 경험
- 소규모 QA팀 혹은 단독 QA로 서비스 품질을 책임진 경험
- 사용자 중심의 시각으로 품질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행한 경험
- 콘텐츠 서비스 또는 학습 서비스 QA 경험자
- multi-region 환경 및 다국어 글로벌 서비스 QA 경험자
- QA 자격증(ISTQB, CSTE 등) 보유자
- 반복적 작업에서도 꼼꼼함과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분
-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Release까지 프로젝트 전 과정을 QA로 참여한 경험자
- QA 프로세스와 다양한 테스트 방법론을 개선·정립하여 원활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 경험자
- 변화하는 사업 환경에 맞춰 QA 방향성을 빠르게 전환하고 실행할 수 있는 분
[과정은 단순히 확인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입니다.]
- 서류 전형 > 1차 면접(현장 과제 30분 + 대면 면접 30분) > 2차 면접 > 평판 조회 및 처우 협의 > 최종 합격
- 전형 절차는 차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 양식의 이력서를 보내주시면, 살펴보겠습니다.]
- 자유 양식 이력서 + 포트폴리오(참여 프로젝트와 QA 경험, 본인이 맡았던 역할 중심)
- 포트폴리오, 기획서 등 본인을 표현할 수 있는 서류도 자유롭게 제출 가능합니다.
- 모든 첨부파일은 2~3개 내외의 PDF 또는 링크로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각 파일당 50MB 이내)
- 링크가 포함된 경우, 해당 링크의 외부 접속 권한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