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성과 지표 관리
고객 행동 분석 툴 사용 Google Analytics
셰프잡스 구인구직 서비스 관리자모드 관리
고객 사용성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 제안 및 기능 설계
HR Technology Trend 파악 및 기술 전망
셰프잡스 서비스의 브랜딩, 광고 컨셉, 포지셔닝 작업
서비스 홍보자료 기획 및 제작
셰프잡스 수익화 전략 수립 및 실행
네이버 키워드광고 집행 및 비용 효율 관리
구글 애드워즈 집행 및 비용 효율 관리
셰프잡스 유료 회원의 채용공고 확산 전략 수립 및 실행
셰프뉴스 미디어 웹사이트 & 보유 페이스북 페이지를 활용한 플랫폼 성장 전략 수립
업계 DB 관리, 영업 전략 수립 및 실행 (SMS, 뉴스레터)
핵심 고객의 생활 분석 및 효율성 높은 광고 방안 발굴
식당 밀집 지역 대상 오프라인 영업
실재 네트워크(협회, 학교 등)을 겨냥한 홍보 전략 수립 및 실행
F&B산업 식품기업 및 요리유학원 대상 광고 대행
온라인 구인구직 서비스 시장을 탑다운으로 분석하자면; 범용적인 구인구직 서비스(잡코리아, 사람이)과 버티컬 구인구직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버티컬 구인구직서비스는 포털에서 검색하면 약 100여 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버티컬 구인구직 서비스 중에서는 그 산업의 중개자 역할을 하던 곳도 있지만, 동일한 웹사이트를 여러 분야로 문어발식 확장을 한 곳이 대다수입니다. 후자의 경우 고객에게 실제 가치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며, 외식산업에서 구인구직 서비스를 하는 경쟁업체들도 모두 문어발식 확장을 한 곳입니다.
버티컬 구인구직 서비스 시장은 범용적인 구인구직 서비스 시장보다 약 15년 가량 뒤처져있습니다. ①PC기반이며 ②폐쇄형 플랫폼의 구조를 띄고 ③완전 유료화 수익모델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합니다. 이 문제는 자체적으로 구인구직 웹사이트를 개발하지 않고, 동일한 플랫폼을 웹사이트 제작사로부터 구입해서 사용한 것으로 비롯되었습니다.
셰프잡스는 ①모바일에 최적화된 웹사이트이며 ②개방형 플랫폼이고 ③부분유료화 수익모델을 기획의 출발점으로 삼았습니다.
셰프잡스의 마케팅 전략은 트리플 미디어 전략에 기반합니다. ①Paid Media ②Owned Media ③Earned Media
경쟁사 및 버티컬 구인구직 서비스의 대다수는 Paid Media 중에서도 네이버 키워드 광고에만 의존하고 있습니다. Paid Media 전략만 제대로 실행하더라도 경쟁사와 같은 입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셰프잡스는 셰프뉴스를 통해 Owned Media를 활용한 전략을 펼칠 수 있습니다. 지난 2년간 외식산업의 식품기업, 요리유학원을 대상으로 셰프뉴스의 광고상품은 실제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국내 현존 F&B산업에서 가장 효과 좋은 광고 채널이며, 이를 셰프잡스 플랫폼의 성장에도, 셰프잡스에 등록되는 구인공고 홍보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역량은 경쟁사가 단기간에 따라올 수 없는 역량입니다.
가장 핵심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Earned Media를 작동케 하는 것입니다. 셰프잡스의 구인공고와 이력서는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서 각각의 공고와 이력서가 공유가능토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구인레스토랑과 구직요리사의 채용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선순환 구조가 일어날 것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셰프잡스의 마케팅은 경쟁사의 우위에 서는 것을 넘어서, 실제 학교 네트워크, 협회 네트워크, 지역 네트워크 등 산업에 실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분야를 가리지 않는 마케팅을 집행해야 합니다.
* 포트폴리오가 있다면 꼭 첨부해주세요.
셰프잡스 보기 : http://chefjobs.kr
셰프뉴스 보기 : http://chef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