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A 기본 업무
- QA직무가 신설되어 비브로스 첫 QA로 입사
- 업무 진행 방식 정의, 기획서 리뷰, QA일정 산출, Testcase작성, 기능 & UI 테스트 수행, UI 회귀 자동화 테스트, 운영 환경 모니터링, QA 결과 공유 업무 수행
- QA 대상 : 똑닥서비스(모바일, PC), 똑닥어드민(PC), 키오스크
- 똑닥 앱 업무 파악을 위해 입사 직후 운영 환경을 대상으로 탐색적 테스팅을 수행과 동시에 전체 기능 Testcase 작성
- 입사 15일 만에 총79건의 운영 결함을 검출하여 jira에 등록
- 처음으로 수행한 디자인 QA에서는 33건의 이슈를 검출하여 회사 내 디자인 QA 중 최고의 이슈 검출을 기록
- QA 일정 내 최대의 시간을 들여 결함 검출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함
- 결함이나 사용자를 위한 개선점 파악을 위해 똑닥 앱 운영 환경을 수시로 모니터링
- 초기에 기획서, 디자인 공유 회의에 참여하여 사용자 관점의 개선 사항 협의
- 예측하지 못한 이슈를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앱마켓의 사용자의견을 수시로 모니터링
- Jira,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활용하여 결함 관리
- EMR 프로그램과의 정상 연동 확인 시 발생되는 이슈를 해당 회사에 수정 요청(유비케어, 네오소프트, 포닥터)
- 구글플레이 평점이 입사 전 하향세였으나 입사 2개월 후부터 상승세로 변경됨
- QA파트 TO가 3인으로 확대되어 QA 채용(이력서 검토, 면접) 진행
- 2019년 분기별 개인 업무 평가 4번 모두 최고 등급 달성
■ Katalon 자동화 테스트툴 사용
- 똑닥 앱 안드로이드 개발, 운영 환경에서의 회귀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 구축
- 추가 및 변경으로 인한 script 유지 보수 업무 진행
- 전체 메뉴의 UI, 기능 동작 체크부터 병원에서의 접수, 예약 처리 등 UI로 처리 불가능한 기능은REST API를 활용하여 구현
- Docker와 Jenkins를 활용하여 매일 정해진 시간에 회귀 자동화 테스트 자동 수행 구축
- 2019년 Katalon으로 총 19건의 회귀 결함 검출
- iOS 자동화 테스트, 똑닥 어드민 환경 자동화 테스트 구축 작업 진행
- 주주사 QA팀에게 회귀 자동화 테스트 구축 내용 교육
■ Jmeter의 response assertion을 사용하여 API 테스트 환경 구축
■ 나에게 할당 된 업무 외 회사에서 진행되는 모든 내용에 QA를 한다는 마인드로 근무
- 이벤트팀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관련 이미지 공유 메일에서 당첨자 수 부분이 누락 확인하여 담당자에게 공유 후 해당 내용 수정
- 이벤트팀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관련 이미지 공유 메일에서 종료 일자가 잘 못되어 담당자에게 공유 후 해당 내용 수정
- 디자인팀에서 앱 내 날짜, 시간, 휴대폰번호 표시 기준을 정하여 회사 전체에 공유했으나 메일에 시간 방식이 잘 못 적혀 있던 것이 확인되어 해당 공지 내용 수정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