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거시 프로젝트 유지·보수
- 장애/버그 분류·우선순위화 + 배포 체크리스트 적용을 통해 처리 누락/실수 감소
- 로그/네트워크/콘솔 기반 원인 분석 체계 + 롤백/핫픽스 절차 명확화를 통해 평균 대응 시간 단축
- 오류 알림·에러 처리 공통화를 통해 유지보수 효율화
2) 레거시 프로젝트를 신규 아키텍처로 전환
- 멀티 테넌시/브랜드 구조: 동적 라우팅, 브랜드별 기본 경로, 브랜드별 런타임 설정(빌드 없이 로고/색상·API·기능 토글 반영)
- 기술 표준화(React 18, TypeScript, Vite, React Router v6, TanStack Query)와 공통 컴포넌트·훅 정리로 중복 제거·유지보수성 향상
- 주요 모듈 고도화: 게시판(무한 스크롤·리스트 복원·필터), 학습 진행/알림 동기화, 동영상·PDF·HTML 뷰어(가로/세로, 확대·이동, 진행률 동기화, 모바일 안전 영역), 다국어 지원
- 전환 과정에서 API 규격 합의, 디자인 전달 기준 정리(이름 규칙·반응형 기준 등), 코드 리뷰·완료 기준 정착
3) 웹–앱 연계(웹뷰/온디바이스 기능)
- Android WebView(JavascriptInterface), iOS WKWebView(messageHandler) 기반 양방향 통신 규약 정의
- 자동/통합 로그인, 딥링크/URL 스킴, 푸시 토큰 전달·알림 열기, 파일 업/다운로드(카메라·갤러리·문서), 공유/클립보드, 화면 방향·안전 영역 대응
- 샘플 SDK/테스트 페이지/가이드 문서 제공으로 외주 네이티브 팀 협업 정착
4) 캄보디아 코딩 교육 (국가사업 연계)
- 프론트엔드 파트 교육 지원(JS·TS·React) — 현지 실습 코칭 및 코드 리뷰
- 취업 연계·인턴십 매칭으로 수강생의 실무 경험 연결
- 초기 운영 틀 마련: 커리큘럼·코드리뷰·가이드를 정리해 지속 가능한 코딩 교육 사업 기반 확보 (KOICA 국가사업 연계)
5) 프론트엔드 파일럿 팀 운영·리딩
- 캄보디아 코딩 교육 수료생 중 파일럿 팀 선발(테스트/리뷰 기반) 및 초기 운영 체계 마련
- 온보딩 가이드·PR/리뷰 템플릿·완료 기준 도입으로 협업 방식 표준화
- 매일 n회 리뷰/회고 진행, 작은 과제부터 실서비스 이슈까지 난이도 단계적 확장
- 위의 과정들을 통해 실무에 투입 후, 신규 아키텍쳐 전환 시 파일럿 팀 실제 운용
6) AI/LLM 워크플로우 도입 파일럿
- 목적: 반복 작업 단축, 문서·코드 초안 자동화 가능성 탐색
- 범위: 내부 파일럿/PoC 수준으로 선별 업무에 제한 적용(안정성·보안 고려)
- 도구: Cursor IDE, Claude Code, Claude Desktop, Codex, Figma MCP, Browser MCP, Taskmaster.ai 등
- 진행: PRD를 통한 Taskmaster 태스크 분해, Cursor/Claude 코드·문서 초안화, Figma/Browser MCP로 레이아웃·검수자료 보조
- 본격 도입 전 적합성 확인 단계(팀 내 활용성·가이드 초안 마련)
* 기술 스택: React 18, TypeScript, Vite, React Router v6, TanStack Query, Axios, RHF+Zod, MUI/Tailwind/shadcn, i18next, dayjs, SonarQube 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