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서비스 기획자 & 프로덕트 디자이너
주요 성과: AI 투자 서비스 기획·디자인, 데이터 기반 UX 개선, 규제 환경 대응 전략, 비즈니스 모델 설계
1. AI 투자 비서 서비스 - 프로덕트 디자이너 / 서비스 기획
- 2025.06
- 유저 리서치: 개인 투자자·직장인 투자자 페르소나 정의 및 투자 성향 분석.
- 전환 퍼널 설계: 타겟 니즈와 회사 강점을 결합한 AI 포트폴리오 추천·리밸런싱 알림 구조 설계.
- 비즈니스 확장안 제시: RA·NLP 엔진 활용, B2B 컨설팅 가능성, 유저 락인 전략 기획.
2. AI 리서치 기반 해외 테마 분석 서비스 - 서비스 기획 / 데이터 시각화 디자이너
- 2025.03 - 2025.05
- 서비스 콘셉트부터 UX/UI까지 전 과정 주도: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 에이전트 흐름도, 디자인 시스템 구축.
- UX 개선: 직관적인 마인드맵 UI 설계, 종목·토픽 관계 및 수익률 비교 기능 구현.
- AI 에이전트 설계: LLM 기반의 토픽·종목 분석 구조 설계 및 마인드맵 시각화.
- AI 분석 구조 기획: 비정형 데이터(뉴스, 공시) 분석 기획.
3. 공모펀드 비교·추천 AI 서비스 - PM / 프로덕트 디자이너
- 2024.10 - 2025.02
- 금융규제 샌드박스 혁신서비스 지정
- 투자자 성향·목적 기반 대화 퍼널 및 멀티 에이전트 쿼리 처리 구조 설계
- 다수 금융사 연동 및 클릭당 수익 모델 기획
- ETF·펀드 통합 포트폴리오 추천 서비스로 확장 방향 제시
4. Alpha Context Engine (PoC) - 서비스 기획 / 데이터 분석
- 2024.06. - 2024.07
- LLM 기반 뉴스 분석 엔진 PoC 기획, 중복 뉴스·광고성 뉴스 필터링 기획
- 문서-주제-세부 토픽-키워드 계층 구조 분석 및 GPT-3.5 JSON 출력 포맷 설계
- 투자자 맞춤형 키워드 구독·알림 UX 제안
- 정보 압축·맥락 최적화 엔진으로서 투자 의사결정 속도·정확도 향상 가능성 검증
5. SK증권 MTS / 주파수 인앱 챗봇 서비스 - 프로덕트 디자이너
- 2024.01. - 2024.06.
- UX 리서치·페인포인트 정의, 인터랙션 설계, 와이어프레임, 시각 디자인, QA 수행
- 개선 작업
- 기존 구조: 버튼형 첫 화면 → 진입 후 정보 도달까지 추가 경로로 이탈률 상승 가능성 발견
- 문제 개선: 주요 정보 우선형 화면으로 개편 (챗봇형 인터페이스 적용)
- 개선 성과: MAU 4.7만 달성, 기존 구조 대비 탐색 시간 단축 및 UX 효율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