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프로세스 T/F 활동]
주요내용: QA 업무 진행 시 병목을 없애고 프로젝트 효율성을 높이고자 프로세스 T/F에 참여
- 업무 진행 시 병목이 되는 부분에 대한 원인 파악
- 배포 이후 장애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API Test, 코드리뷰, 요구사항 정리(feature list), 프로젝트 kick-off 시 QA 참석하도록 함, TestCase 문서 표준화 진행, TestCase 리뷰 단계 도입
- Jira 상태에 대한 표준 정의(워크플로우 정의)
- 표준 Testcase 문서 템플릿 개발
- QA 진행 시 불편사항 정리(개발과 시스템 환경 부분) – PHP와 Java의 시스템이 나눠져 있어 UI 확인에 어려움이 있었음. -> 시스템 담당자에게 건의하여 UI 확인을 위한 개발 환경 추가 요청 함.
[API Test]
주요내용 : 개발파트 별 주요 API에 대한 API Test 진행.
- 사용 Tool 및 언어: Java, Rest-Assured, TestNG, Maven, Jenkins, GIT, Bitbucket
- 프로세스: API spec 분석 -> Test 설계 -> Test Data 생성 -> Script 개발 -> Jenkins Job 등록 -> Report 순서로 진행
- Test 수행 시나리오: 해당 레포지토리의 qa 브랜치에 빌드가 완료되면 Jenkins api를 통해 QA Jenkins에 등록된 API Test job을 실행시켜 자동으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함.
- Report는 ExtentReport 플러그인을 사용.
- 테스트 결과는 메일로 받아볼 수 있게 하여 fail 발생 시 개발자와 공동 대응함.
- API Gateway에 등록된 API 테스트 시 해당 API의 호출결과와 gateway에서 호출한 결과를 동시에 확인하여 API의 문제인지 gateway의 문제인지 확인하도록 함.
- API Test 수행에 필요한 가이드 작성
주요성과
- 개발 입장에서는 QA 브랜치에서 빌드 후 바로 API Test를 수행하기에 QA환경에서 문제점을 빠르게 확인하기에 리얼 환경 배포 후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 QA 입장에서는 데이터의 문제인지 클라이언트의 문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오류 보고 및 대응의 시간이 최소화 되었다.
[모바일 SPC API Test]
주요내용: 신규 프로젝트로서 API가 개발되는 중에 API Test를 수행 함.
- 사용 Tool: PostMan, NewMan, Jenkins, Bitbucket, GIT, SourceTree
- PostMan 선정한 이유: 개발을 잘 모르는 QA들이 각자 담당하는 도메인의 데이터 확인을 위해 PostMan의 collection을 우선 제공. 프로젝트 일정 상 빠른 확인을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PostMan을 선정함.
- command-line에서 PostMan의 스크립트가 동작할 수 있는 NewMan을 적용하여 Jenkins에서 테스트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2명이서 스크립트 작업을 위해 PostMan의 collection을 GIT에서 관리함.
주요성과
- 개발을 잘 모르는 QA들이 각자 담당하는 도메인의 데이터 확인을 위해 Postman의 collection을 우선 제공하여 API Test와 UI Test를 동시에 진행 가능하도록 했다.
[QA 미션 활동 - 테스트 자동화 도입]
주요내용: QA팀 업무 외적으로 테스트 자동화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미션을 1년 동안 수행하여 2019년도에 자동화 파트가 생성되기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 지원자 6명과 같이 대상 선정, 툴 선정, 업무 분장, 과제 수행을 진행.
- 주간 회의 진행하여 업무 공유 함: 업무 외 시간에 진행하는 것을 알고 신청한 팀원들에게 업무의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 업무 분장 및 업무 내용을 공유함.
-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환경설정 등을 빠르게 진행하였고, UI Test와 API Test의 구조 및 설계 담당함.
* UI 자동화: Selenium, Java, TestNG, Maven, POM pattern 적용
* API Test: PostMan, Rest-Assured 적용
- UI 자동화는 정기점검 시 regression test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고 API Test는 가이드를 만들어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함.
- API Test는 별도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API Test 전담으로 진행하는 파트를 생성할 수 있었음. (기 배포된 API와 신규 API에 대한 프로세스를 구축함)
[정기점검 체크리스트 UI 자동화]
주요 내용
- 사용 Tool 및 언어: Java, Selenium, TestNG, Maven, Jenkins, GIT, Bitbucket
- 기존에 수동으로만 확인하던 정기점검 시 진행하는 체크리스트를 Selenium을
이용하여 자동화 함.
- Page Factory을 이용하여 테스트 코드와 동작 코드를 분리함에 따라 유지보수를 쉽게 하도록 함.
- Sample project를 구성하여 코드의 구조 및 방향을 잡아주고 코드 리뷰도 진행함
주요 성과
- 매월 1회 정기점검이 진행되는데 이 때 수동으로 확인하던 것을 자동화를 통해 정기점검의 확인 시간을 줄임
[플랫폼 QA]
주요 내용: 주문, 결제, 배송, 회원 등 이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Backend QA를 진 행함
- 요구사항 분석: 기획서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Feature List 를 작성 후 리뷰를 진행.
- Testcase 작성: 분석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Testcase를 작성하고 리뷰를 진 행. 테스트수행:브라우저,App등 타겟디바이스별로테스트를수행하고버그발 생 시 Jira로 등록하여 이슈 관리
- 배포: 작업된 내용을 QA 환경에서 리얼 환경까지 직접 배포를 진행 후 모니터링 수행함
주요 성과
- 주문, 결제, 배송 등의 이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Backend QA를 진행함으로 인해 딜 등록 → 주문 → 배송 → 환불 까지의 flow를 모두 파악할 수 있어서 이커머 스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새로운 과제 진행 시 영향도 확인에 도 움이 많이 되어 프로젝트 진행 전 이슈 확인에 도움이 많이 되었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