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한 기술 키워드]
→ Kotlin, Java, Room, Widget, MVP, MVVM
→ Retrofit, Coroutine, Glide, FCM AWS S3, Naver Map
→ Mixpanel, Apps Flayer, ChannelTalk
---------------------------------------------------------------------------------------
1. 카로 앱 서비스 기획/개발/배포/운영 (리뉴얼 업데이트)
<과제>
→ 고객들의 접근성과 보안에 따른 서비스 편의성이 매우 떨어짐.
<진행과정>
→ 웹기반 서비스를 네이티브 앱 서비스로 전환.
→ 프로젝트 초기 구축부터 Gradle Script 셋팅, 버전관리, minSdk와 targetSdk에 대한 고민.
→ 추후 유지보수가 쉬운 형태로의 개발을 위해 스터디 병행.
→ 클린코드, 토스 컨퍼런스 등.
<성과>
→ 서비스 접근성 향상
→ 네이티브 앱 서비스로 서비스 접근성이 향상.
→ 보안에 따른 편의성 향상
→ 자동 로그인 기능으로 서비스 편의성 향상.
<서비스 성과>
→ AS-IS
→ 서비스 누적 가입자 수 100명 내외.
→ TO-BE
→ 9월까지 누적 가입자수 3149명, 누적 앱 다운로드 수 10,485건.
(21.12 월 기준 누적 가입자 수 약 6000명, 서비스 GMV 최고 매출 기록)
---------------------------------------------------------------------------------------
2. 회원가입 프로세스 개선
<과제>
→ 회원가입 프로세스에서 운전면허등록화면 제거.
<진행과정>
→ 운전면허등록 화면을 제거 할 때 발생 할 수 있는 이슈 검토 후 제거
<성과>
→ 회원가입 프로세스가 가벼워 짐.
<서비스 성과>
→ AS-IS
→ 회원가입 페이지 접속 후, 가입 완료까지 비율 44.32%로 운전면허 등록 화면에서 고객 이탈율 높은 수치로 발생.
→ TO-BE
→ 회원가입 페이지 접속 후, 가입완료까지 비율 80% 이상으로 증가하여, 많은 수의 가입자 확보.
---------------------------------------------------------------------------------------
3. FCM 푸쉬 알림 기능 추가
<과제>
→ 차량등록증 & 보험신청서 전송 버튼 추가.
<진행과정>
→ 기존 UI 에 대한 Side Effect 검토 후 버튼 추가.
<성과>
→ 서비스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
<서비스 성과>
→ AS-IS
→ 차량등록증 및 보험신청서 등 빈번한 고객문의로 운영팀 업무 부담과 서비스 편의성 하락.
→ TO-BE
→ 운영팀 업무 부담 해소,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
---------------------------------------------------------------------------------------
4. 위젯 기능 추가
<과제>
→ FCM 푸시 알림과 위젯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정보 제공.
<진행과정>
→ 위젯을 개발하여, 고객들에게 관심 차량에 대한 정보 제공.
→ 위젯 관련 문서 및 공식 문서를 통한 스터디 후 구현.
→ 위젯 내부에서 Retrofit을 통한 서버 통신.
→ 네트워크 에러발생 시 broadcastReceive를 통해 처리.
→ FCM 푸시 알림을 통해, 고객들에게 차량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 Notifaction 버전별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고, 사용자 Action을 PendingIntent로 처리.
→ ApplicationClass의 멤버변수를 활용하여, 앱 상태별 (kill, background,foreground) FCM에 따른 화면 진입 처리.
<성과>
→ 액티비티 스택이 꼬이지 않게 구현, 화면 진입 후 뒤로가기 클릭 시, 이전화면으로 이동 처리.
→ 위젯 개발에 따른 서비스 편의성 향상.
<서비스 성과>
→ AS-IS
→ 서비스 정보를 앱에 접속 해야만 확인 할 수 있어, 서비스 정보 제공에 대한 고객 접근성이 떨어짐.
→ TO-BE
→ 관심차량 입고, 신차입고 시 고객들의 차량 신청 및 문의가 증가됨에 따라, 매출 상승과 서비스 만족도 향상.
→ FCM & 위젯 추가 후, 차량 구독율이 월 3% 증가.
---------------------------------------------------------------------------------------
5. 서비스 만족도 & 매출 상승을 위한 사용자 동선 데이터 축적
<과제>
→ 사용자 이벤트 추적을 위한 트레이싱 로깅.
<진행과정>
→ 화면진입과 뷰 이벤트 발생 시, 일관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템플릿 형태의 코드베이스 구축.
<성과>
→ 사용자 트레이싱 로그를 문제없이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트레이싱 환경 구축 완료 및 개선.
<서비스 성과>
→ AS-IS
→ 가입자수 & 매출에 대한 정체.
→ TO-BE
→ 고객 성별, 신용등급, 연령 별 선호 브랜드와 차량에 대한 데이터 결과물 획득과 그에 따른 서비스 방향성 확보.
---------------------------------------------------------------------------------------
6. 사용자 동선 데이터를 활용한 차량 권유 후킹 팝업 추가
<과제>
→ 동일 차량 정보 3번 이상 조회 시, 차량 신청 권유 팝업을 노출.
<진행과정>
→ SharedPreferences 사용.
→ 하루 한 번 팝업 노출, 차량 조회 상태를 Preference에 보관하여 처리.
→ 하루가 지나면 Preference의 차량 조회 상태를 0으로 초기화 하여 다시 카운팅.
<성과>
→ SharedPreferences를 활용해 가독성과 편의성을 향상시켜 추후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 없이 처리완료.개선.
<서비스 성과>
→ AS-IS
→ 차량 정보 화면에서, 신청 화면 진입 비율이 5% 밖에 되지 않음.
→ TO-BE
→ 차량 정보 화면에서, 신청 화면 진입 비율이 5%에서 약 8%로 증가.
---------------------------------------------------------------------------------------
7. 호텔 서비스 개발
<과제>
→ 호텔 예약 서비스 개발.
<진행과정>
→ Coroutine을 통한 UI 처리.
→ 네트워크 통신 response를 Room DB에 저장 후, 화면에 표시.
→ Retrofit을 통한 비동기 결제 처리.
<성과>
→ 적은 딜레이 시간으로 UI 노출과 매끄러운 결제 처리완료.
<서비스 성과>
→ AS-IS
→ 가입자수 & 매출에 대한 정체.
→ TO-BE
→ 호텔 구독 서비스 출시 2달간 고객 유치 비율이 하루에 10~15건 에서 최대 25건까지 확대.
---------------------------------------------------------------------------------------
8. 데이터 모듈화
* 보일러플레이트를 제거하기 위해 클래스별 산재되어 있는 로직을 캡슐화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킴.
1-1 ) 결제 카드 입력 모듈화
< https://sincere-match-88b.notion.site/5843634c6bf0474aa1675637345098a3 >
문제 : 차량신청, 호텔신청, 카드 변경 각각의 화면 모두에서 사용자의 카드 정보데이터를 입력처리를 함.
카드 정보 화면 및 기능 개발 시, 각각의 화면에서 모두 코드 수정이 필요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개발 부담이 발생.
해결 : 화면에 종속적이지 않는 카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따로 만들어, 세 화면에 모두에 대해 적용.
성과 : 카드 정보 입력에 처리에 대한 가독성 향상, 기능 개발과 유지보수의 부담 해소에 따른 서비스 안정성 향상.
1-2) 운전면허등록 화면
< https://sincere-match-88b.notion.site/8d8ff22f0565408eb99b446ae664e497 >
문제: 프로필,차량신청 화면에서 각각 사용자의 운전면허 입력처리를 함.
운전면허등록 화면 및 기능 개발 시, 각각의 화면에서 모두 코드 수정이 필요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개발 부담이 발생.
해결: 화면에 종속적이지 않는 운전면허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따로 만들어, 화면 모두에 대해 적용.
성과: 운전면허 입력데이터 처리에 대한 가독성 향상, 기능 개발과 유지보수의 부담 해소에 따른 서비스 안정성 향상.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