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개발 외 업무
1. React-Native 보일러 플레이트 작성
회사 특성상 SI 업무가 많고 납품 일정이 정해져 있는 일은 많은데 시니어 개발자가 없는 상황에서
- 업무 효율 증대
- 중복 업무를 최소화
의 목적으로 React-Native 신규 프로젝트용 보일러 플레이트를 작성하였습니다. Firebase, push notification, SNS 로그인, codepush 등 기본 설정 등이 되어있는 상태로 매뉴얼을 따라 서비스 가입 및 키 값 변경, API 연동 등의 간단한 작업만으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고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모듈들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2. 문서 작성
툴 사용법, 프로젝트 설정 등 작은 문서에서부터 업무, 개발 가이드 등 반복되는 사내 업무들을 문서화하였고 업무 전달 방식도 개선에 힘썼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팀원들 모두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갖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고민이 많았는데
- 작성하기 쉽다.
- 정성 대비 나은(더 나아보이는..) 아웃풋
- 업무 협업 툴로 사용하여 접근성 강화
위의 이유로 노션을 선택, 전파하여 팀원들과 활용하였습니다.
3. 코드 리뷰 도입
- 서로 소스를 읽게 하는 습관을 기르기
- 서로 수정한 부분들에 대한 충돌 최소화
- 자신의 소스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기
위의 목적으로 팀원들과 상의하여 CodeStream이라는 VSCode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코드 리뷰를 한 후 merge 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 하였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하였습니다.
4. graylog 도입
사내에 특별히 장애 관리 시스템 구성이 되어있지 않고 장애 발생시 연락이 오면 로그를 찾아보고 수정하고 하는 일이 반복되어 graylog를 설치 및 설정하여 장애 발생 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5. swagger 도입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모두 접근 가능해야 한다.
- 수정이 용이해야 한다.
- 문서와 코드는 항상 동일해야 한다.
API명세를 엑셀로 주고 받고 메신저로 주고 받고.. 항상 최신화가 안 되는 상황에서 위 목적으로 API명세 툴인 swagger를 도입하여 설정 및 설정 가이드를 작성하였습니다.
6. storybook 도입
- 컴포넌트 단위 개발에 집중
- UI 테스트 편의성
- 컴포넌트 명세 작성
등의 이유로 react-native와 react 프로젝트에 storybook을 도입하였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