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업계 특성상 다품종의 제품들을 다뤄야 했기 때문에 총 약 1000가지 정도의 제품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습니다. 맡은 브랜드들의 수요 예측과 재고 관리를 하기 위해서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일을 진행하였습니다.
1. 제품 수출입, 수요 예측, 재고 관리 비용에 맞는 계획 수립을 위한 SIOP 미팅
많은 SKU를 관리하기 위해서 꼼꼼한 트래킹이 필요하고 이를 다른 부서와도 잘 공유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따라서 판매 트랜드, 프로모션 기획, 방향성, 재고 상황과 앞으로의 수급 이슈, 그 외에 갑작스러운 이슈 등등을 SIOP 미팅에서 매월 공유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SCM 측의 의견과 브랜드 팀의 상충되는 의견을 조율하거나 이슈를 미리 공유 하는 등 브랜드를 더욱 성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2. 마케팅, 세일즈, 파이낸스 등 유관 부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갑작스러운 프로모션, 신제품 출시, 통관 이슈 등등 다양한 상황을 모두 알아야지만 성공적으로 수요 예측을 하여 알맞은 재고를 끌어올 수 있습니다. 품절을 피하기 위해서 여러 이슈가 있을 때 미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재고의 수량을 조절하는데, 이때 다른 팀에게 미리 품절 공지를 주거나 다른 나라에서 수량을 끌어왔습니다. 반대로 지나치게 재고가 많은 상황에서는 재고의 수준을 적정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서 수출을 진행하거나, 먼저 프로모션 용으로 잉여 재고의 수량을 브랜드에 제안하는 등등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적절한 재고의 레벨을 조정하였습니다.
3. 빠른 발주를 위한 데이터 관리
정규적 전환 전 SAP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했었기 때문에 오더가 빨리 발주되려면 어떠한 정보가 업데이트 되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브랜드에서 빨리 런칭을 하여야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면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빠르게 캐치하여 판매 효율성을 높였습니다.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