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여행하기 좋은 장소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유저 페이지와 추후 추가될 숙소 예약을 위한 사장님 페이지,
전반적인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페이지들의 프론트엔드 개발과 관리를 총괄 담당하고 있습니다.
- npm 모듈 배포를 통한 전 프로젝트의 공통 UI 및 기능 관리 경험
- React 18 버전의 서버 컴포넌트 사용 경험
- MSW를 이용한 개발환경의 mock 데이터 관리 경험
- grahpql과 codegen을 활용한 api 타입 관리
- grahpql의 fragments를 통한 유연성 있는 api 데이터 관리 경험
- React-hook-form을 기반으로 작성 및 수정에 관한 데이터 관리 경험
- Recoil의 단점을 보완한 Zustand 기반의 공통 state 관리 경험
- IOS, Android와 Webview간의 상호 통신 관리 경험
(사용자 디바이스의 노치 및 현재 위치, 카메라 권한 및 뒤로가기에 대한 데이터 상호 통신)
- 현재 위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네이버 지도 기반의 페이지 설계 및 관리 경험
- Modal, SnackBar, Carousel, Skeleton 등의 자체 서비스의 Material-ui 전체 설계 및 관리 경험
- Figma 공유를 활용하여 기획자 및 디자이너와의 상호 소통 경험
개발에 사용된 주 스택으로는 React(18), Next.js(13), Typescript, CSS-Module를 활용했으며,
데이터 통신에는 Grahpql, Apollo-client를 이용해 백엔드 API와의 통신과 캐시 관리,
MSW를 통한 개발환경의 mock 관리, Codegen을 통한 API의 타입을 관리하였습니다.
데이터 관리에 사용된 스택으로는 react-hook-form, Zustand를 사용하였고, Zod를 통한 데이터 검증을 설계했습니다.
협업툴로는 전체 팀원들과는 Slack, Notion을 이용해 개발일정이나 개발결과를 공유하였고
기획자와 디자이너와는 Figma를 통해 개발 스프린트 일정을 관리하고 조율하는데 사용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