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RIA XMI 해석기 1) 소스코드, 형상정보, 스타일 정보로 구성되는 XMI의 구조 해석 2) XMI는 RIA플랫폼아키텍처에 기반을 둔 컴포넌트의 속성과 이벤트, 데이터모델, 비즈니스로직으로 구성 3) XML, JavaScript를 기반으로 정의된 XMI를 파싱하여 Parse Tree를 구성하며, 문법적/문맥적 정합성 검증 나. 시각화 관리 1) 운영체제(OS)와 기기(Device) 독립적으로 컴포넌트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화면에 표시 2) 운영 기기(Device)에 따라 상이한 그래픽 자원을 안정적으로 지원 3) Fade-In/Out, Wipe-In/Out등과 같은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시각효과 지원 다. 이벤트 관리 1) 입출력 장치의 확장에 따른 사용자 이벤트 확장과 시스템 이벤트 확장, 이벤트 조합에 유연하게 확장 가능 2) XMI에서 설정된 이벤트 맵에 대한 매크로 확장 지원 3) 상이한 운영환경의 플랫폼 종속적인 이벤트와 기업용 RIA응용프로그램 표준 이벤트의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매핑 4) 메시지 큐와 이벤트 핸들러 관리 라. 데이터 모델 관리자 1) 응용프로그램에서 정의되고 사용되는 데이터모델이 컴포넌트와 바인딩되고, 소스코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 2) 데이터모델과 컴포넌트의 매핑 관계에 따른 데이터 연동(Synchronize)과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는 연동 구조로 N:N 매핑관계 지원 마. 컴포넌트 설계 1) 버튼(Button), 텍스트(Text), 그리드(Grid), 트리(Tree), 그래프(Graph) 등과 같은 하위 컴포넌트의 속성과 기능을 정의하고 설계 2) 컴포넌트의 조합을 통하여 사용자 복합(Composite) 컴포넌트 개발이 가능한 구조 설계 3) 컴포넌트 및 객체의 상속을 통하여 재사용 가능하며 기능 확장이 가능한 구조 설계 바. 인터페이스 확장 설계 1) 표준안에서 제안하는 인터페이스 확장안을 준수하면서 기업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는 확장 기능 설계 2) 기업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확장된 컴포넌트의 속성 및 기능 설계 3) 기업의 다양한 데이터소스를 지원하고 기 구축된 시스템과의 원활한 연동을 위한 확장 가능한 데이터통신 서비스 구조 설계 4) 확장 가능한 입출력 장치(예, 멀티 터치스트린)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사. 컴포넌트 관리자 1) XMI에서 정의된 컴포넌트를 운영환경에서 동작가능 하도록 생성하며 이의 소멸을 관리 2) 사용된 컴포넌트 간의 공간적 관계를 관리하여 이벤트 및 시각화 관리자와의 연동하여 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