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ATH LMS
<프로젝트 개요 및 담당 업무>
- 입시·직무/평생교육 특화 통합형 LMS 솔루션 백엔드 및 인프라 아키텍처 설계·운영 주도
- LangChain / OpenAI 기반 Q&A 커뮤니티 개발, 학생 실시간 문의 자동 응답 기능 PoC 및 프로덕션 적용
- AWS ECS 기반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설계 및 자동화
- 멀티 PG 아키텍처(PortOne & 나이스페이) 설계·구축 결제 안정성 및 확장성 확보
- 강사용 커리큘럼 관리 서비스 및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 모듈 설계 및 구축
- 외부 SaaS 파트너사와 결제·알림·CS·인프라 협업 및 계약/기술 커뮤니케이션
<주요 이슈 및 성과>
1). 플랫폼 Payment Gateway 고도화
- 결제선생(payssam) 솔루션에 대한 사용자의 UI/UX 개선 요청 증가
- 카드결제 외의 결제수단 부족, API/SDK/웹훅 등의 연동 제약
- 일반적인 커머스에서 제공하는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확장 및 정기결제 불가.
- 환불 / 청구서 / 영수증에 대해 부분적으로 수동 처리, 운영팀 업무 부하
- 알림톡 링크 기반 외부 결제 방식을 내부 결제 프로세스로 재설계
- 어플리케이션 내부적으로 FeignClient와 Webhook 기반의 주문 및 청구서 처리 / 결제 히스토리 데이터 생성 관리 자동화
- 멀티 PG 아키텍처 도입, Failover 처리 및 결제 안정성 확보
- SQS 기반 비동기 메시징으로 환불/영수증 및 알림 처리
- 상품 주문 및 결제 처리에 대한 시스템 내의 컨트롤이 가능해지면서 테스트 코드 적용
-> 주문 <-> 결제 과정 상의 GA 이탈률 90% 감소
-> 관리자/사용자 서비스 내에서 부분/전체 환불 및 청구서 발행 및 영수증 등록 가능
-> 정기 구독 서비스 모듈화, 차후 교육 크리에이터 비즈니스 확장 기반 마련
2). CMS 인터페이스 설계
- 플랫폼 내의 크리에이터(공급자)가 제공하는 클래스와, 구성하고 있는 콘텐츠 관리가 일원화
- 크리에이터의 클래스 설계 과정이 복잡해지고, 운영팀이 클래스 관리의 주도권을 가져가게 되면서 플랫폼으로써의 역할 부족
- 클래스 생성시마다 콘텐츠를 생성, 클래스 마다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 중복 발생
- 콘텐츠 변경 시에 N개의 클래스 변경 불가피에 따른 정규화 필요성 대두
- 클래스 개설 이전에 콘텐츠만 비동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별도 시스템 구축
- 어플리케이션 내부적으로 N개의 콘텐츠 타입에 따라 해당 콘텐츠 관리 구현이 가능한 공통 인터페이스 설계
-> N개의 클래스에 하나의 콘텐츠 일괄 배정 가능
-> 콘텐츠 관리 주체를 크리에이터로 전환, 운영팀 업무 50% 이상 경감
->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퀄리티 개선·신규 발굴에 집중 가능
2. LMS + Class Sphere (크리에이터 육성 사업)
<프로젝트 개요 및 담당 업무>
- 교육 콘텐츠 기반 유튜브 채널 + 팬덤 커뮤니티 + LMS 통합 지원 솔루션
- Figma & No Code Tool을 활용한 크리에이터 공통 커뮤니티 기획 및 빌드
- 교육 관련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제작 및 영상 업로드 지원
- LMS 솔루션과의 플러그인 연동을 통한 커머스와 수강 환경 제공
- 커뮤니티 & LMS 게이미피케이션 구축 및 고객 서비스 운영 관리
<주요 이슈 및 성과>
1). 게이미피케이션 설계
- DAU / WAU / MAU (Daily/Weekly/Monthly Active Users) / 유료 전환율 관련 개선을 위해 프로덕트 관점에서 뒷받침 필요
-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의 경우 커머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차별화 요소 및 리텐션 확보 필요
- 운영자가 Original 포인트와 퀘스트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마스터 데이터 설계
- 포인트를 수동으로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UX +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포인트 지급/차감 공통 모듈 설계
-> 차후 퀘스트 및 이벤트에 따른 비동기 증가/차감 관련 핵심 로직에 활용 가능
-> LMS 또는 커뮤니티에서 운영 가능한 별도 소규모 커머스 운영 방안 마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