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프론트엔드 개발자 2~3명) / 서버(백엔드 개발자 3명)
[커넥팅 서비스 개발]
- 유저의 차단 및 신고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 유저 권한 및 프로필 조회 및 수정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 팔로우/팔로잉 시스템을 만들어 SNS 서비스 기능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 채팅 기능 개선 및 신규 채팅 기능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Sendbird, Socket)
- 서비스 통합 알림 및 조회 기능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Firebase, Push Notification)
- 웹뷰 사용을 위한 웹과 앱의 통신 기능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Webview)
- 이 외에 각종 로직과 설정 및 UI 업데이트 등 다양한 유저 사용성 개선 및 신규 기능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개발은 타입스크립트를 베이스로 하여 리액트 네이티브를 메인으로 사용하였고 , 리액트를 이용하여 일부 기능을 개발하였습니다. 커스텀 훅을 만들어서 공유하고 팀 개발자와 공유하고, 상태관리는 리덕스를 사용하여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배포는 스토어 심사 및 배포와 코드푸시를 병행하며 사용했습니다.
클라이언트, 서버, 디자인 각 팀의 담당자가 팀이 되어 주로 2주 단위의 스프린트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긴 프로젝트의 경우는 3개월 짜리도 맡아서 진행하였습니다. 기획 및 디자인팀의 담당자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원활한 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기간은 개발 기간과 QA기간을 비롯하여 수정 및 보완 기간을 포함한 기간입니다.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 맡은 업무에 대하여 최선을 다하고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커넥팅 서비스 보조]
- 기획 및 데이터팀에서 현재 진행중이거나 앞으로 진행할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서비스 내 이벤트 삽입에 기여하였습니다. 가설 검증을 통한 업데이트 지속성을 판단했습니다. (Firebase/Amplitude)
- 기존 기능 및 신규 기능을 테스트 하기 위하여 A/B 테스트 기반의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Firebase)
- 디자인팀과 프로젝트 미팅 외에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디자인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였습니다. (Figma)
- 마케팅팀의 국내 및 해외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이용성 향상을 위한 협업에 기여하였습니다.
- 개발팀 내에 프론트엔드 코드의 아키텍처를 정리하고 재사용한 컴포넌트를 모듈화 하여 추후 재사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습니다.
- 개발팀과는 매일 스탠드업 미팅을 통해서 이슈를 공유하고 협업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보다나은 업무의 진행과 서비스를 위해 향상을 위해 미팅이나 대화를 할 때 솔직하게 의사전달을 하였고, 이는 업무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