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OCR 기능 연동]
- 관리팀에서 웹사이트 신규 가입자의 신분증의 유효 여부를 수동으로 검사해서 업무 부담이 다소 과중됨
- 사진 촬영에 react-webcam을 사용하고, OCR API를 연동하여 신분증 인증 기능을 자동화함
- 신분증 심사가 자동화 되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바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관리 팀의 업무 부담을 줄임
[타입스크립트 마이그레이션]
- 같은 함수 내 혹은 props drilling 과정에서 발생하는 잦은 변수의 타입 변경으로 인한 유지 보수의 어려움과 런타임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로 타입스크립트 도입의 필요성을 느낌
- 팀 회의에서 이 생각을 나누고, 동료와 함께 타입스크립트 스터디를 진행하며 타입스크립트 도입
- 일부 코드에 리팩터링까지 같이 진행되어 전체적인 코드의 품질이 올라감.
- 타입 명시로 인해 코드의 신뢰성과 개발 생산성이 증가했다는 동료의 평가.
- API Response에 대한 타입 작성으로 인해 API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올릴 수 있었음
[redux-saga에서 react-query로 전환]
-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다소 많다고 느껴졌고, 서버 상태를 선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도입한다면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드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됨
- react query 공식 문서를 통해 간단한 학습을 진행, 브런치를 하나 생성하여 react-query 도입 시 코드가 어떻게 변경될 수 있는지 팀 회의 시간에 공유
- data fetching 과 관련된 코드가 단순화 되었고 코드의 가독성 및 개발 생산성이 향상됨. 또한 caching 기능을 이용해 API 요청 수를 줄임
[Container Presenter 패턴 제거]
- 과도하게 사용된 Container Presenter 패턴으로 프로젝트 폴더 구조가 복잡해졌고, 디버깅 및 코드 추적 시 불편함을 야기함
- 일부 코드를 병합하고 반복되는 로직을 커스텀 훅으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분리.
- 170개 이상의 파일을 줄임. 코드 추적 및 프로젝트 폴더 구조가 단순화 되었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