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
=> React / React Native / Recoil / React Query
Tool
=> Notion / Slack / XD / Postman
담당 업무
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Build
- 기존의 React 기반의 코드가 없이, Angular 코드를 리팩토링하며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큰 단위의 컴포넌트들은 atomic design pattern 을 자사 서비스의 요건에 맞게 부분적으로 적용해서, 더 작은 단위로 컴포넌트들을 분리했습니다.
- 기존의 상품 리스트 페이지의 필터의 기능을 전역 상태(Recoil Atom, Selector)로 분리하고, 각 Atom의 변화에 맞춰서 필터 로직이 실행됩니다.
- 상품 리스트에서 api 통신을 통해서 상품 데이터를 요청할 때, 한 번에 모든 상품 데이터를 불러오는 구조(백엔드)라서, 간헐적으로 초기 로딩에서 2~3초 딜레이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Pre-fatch를 적용해서 초기 홈페이지 로딩에서 유저들이 더욱 빠르게 상품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 혼자 메인 테스크를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새로 합류할 팀원들이 신입 및 주니어라는 조건을 고려하여 기술 스택을 정해야 했습니다.
- 이미 사용한 경험이 있는 Redux와 Saga를 포기하고,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Recoil과 React Query를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2. 스타트업 환경에서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 가장 큰 예로, 최근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의 도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Recoil과 Redux를 두고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혼자 리액트로 빌드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컨텐츠는 구글링을 통한 타사 선배 개발자분들이 남긴 기술블로그를 많이 참고했습니다. 최근 프론트엔드 개발 컨퍼런스에서 Recoil에 대해서 호의적으로 말씀하시는 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분의 영상을 보고 저의 결정에 확신을 했습니다.
- 온라인 무료 강의나, 개발 유튜버들의 양질의 콘텐츠들을 많이 참고합니다. 노마드 코더, 드림코딩 엘리, 생활코딩, 타사 개발자 분들의 정보 공유 영상 등
3. 누군가 체계를 만들어주길 기다리지 않고, 먼저 나서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있습니다.
- 자사 서비스의 웹 로드맵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아닌 미래의 동료들을 위해 미리 사이트 맵을 정리하고, 루트에 맞춰 어떤 API가 요구되고, 어떤 로직들이 필요한 페이지인지 중점을 두고 제작하고 있습니다.
- React Native를 혼자 독학하면서 기본 도큐먼트와 온라인 강의들을 문서화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개발팀 노션에 정리하고 있습니다. 큰 단위의 테스크는 따로 분리하여 개인 기술 블로그에 비공개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로그인 로직, 필터 로직, 카트 로직 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