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도 출신 교수 3명, 참가자 30명과의 인터뷰 커뮤니케이션 후 피드백 수용
2. 고객 데이터 수집과 분석으로 만족도 10% 향상에 기여
한국개발연구원 정책 연수실에서 인도 공무원 120명을 대상으로 한 워크샵에서 고객 만족도를 10% 이상 상승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다른 국가 공무원 워크샵의 만족도 평균점수인 9점과 비교했을 때, 인도 공무원들의 만족도는 8점으로 다소 낮았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 참가자들을 자세히 조사하고, 인도 출신 교수님들께 자문을 구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1) 행사 첫 날, 간식을 한 입만 먹다가 버리는 참가자들의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또한, 퇴근하면서 워크샵이 끝나고 호텔 로비를 서성이는 참가자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고, 30명과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인터뷰 진행 결과, 그들의 니즈가 워크샵 끝난 뒤 시간을 알차게 활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파악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 교수님 3분의 자문을 구해 고객들의 선호도에 맞게 과자의 구성을 바꾸고 불교 관광지와 주변 채식 레스토랑 정보 6곳을 담은 리플렛 책자를 만들어 고객들에게 제공했습니다. 250장의 리플렛이 소진될 때마다 관광 정보를 변경하여 행사장 출입구에 배치하였습니다.
2) 이동 시간이 지루하다는 이전 과정 피드백 데이터를 확인 후, 해결책을 강구했습니다. 이동 시간을 줄일 방법은 없었으므로 동승하는 관광 버스의 가이드 분이 버스 내에 비치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이동 시간에 한국에 대한 설명을 해주시면서 재미를 추가하려고 하신다는 점에 착안했습니다. 그리고 이 마이크라는 디바이스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점과 인도 영화의 특징인 발리우드 OST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발리우드 영화 OST 돌림 노래 부르기 놀이로 지루한 이동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참가자들이 먹던 과자를 버리는 비율이 90% 감소하여 다과 예산을 20% 절감할 수 있었고, 고객 만족도를 10% 상승시킬 수 있었습니다. 주식회사 메이코더스에서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Overseas Sales Manager가 되겠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