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ground(메타그라운드)> (2021.11 - 2023.03)
NFT 팩 구매를 통해 재개발 등을 하여 임대수익을 올리는 NFT 메타버스 P2E(play 2 Earn) 플랫폼
* 사용 기술: React, JavaScript, Next.js
* 수행 역할(유지 보수)
- 마켓플레이스(보유한 nft 카드를 거래하는 기능) 페이지의 화면을 구현 하였습니다.
- 프로젝트의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Next.js 12에서 13으로 버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 이벤트의 상세 페이지 작업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반응형 화면을 구현하였습니다.
<Running-pet(러닝펫)> (2022.07 - 2022.10)
메타버스 소셜펫을 키우면서 돈을 벌 수 있는 건강 관리 E2E(Exercise 2 Earn App)앱
* 사용 기술: React-Native, JavaScript, Emotion, Redux
* 수행 역할
- 출금, 결제내역 히스토리 화면과, 공통 모달 화면 구현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일된 UI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i18n을 사용한 다국어 작업을 통해 영어, 한국어, 중국어를 지원하여 다양한 나라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습니다.
- CodePush를 통해 버그 수정이나, 기능 개선을 빠르게 사용자에게 코드 변경 사항을 전달하였고, 자동 업데이트를 통해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 하였습니다.
<Coin-heim(코인하임)> (2022.11 - 2023.03)
토큰 재단 관련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재단 관리 프로그램
* 사용 기술: TypeScript, React, Next.js, Redux, Styled-components
* 수행 역할
- Formi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기존의 복잡한 form을 직관적인 방식으로 간소화 하였고,
Yup의 유효성 검사 기능을 통해 철저하게 검증 과정을 구현 하였습니다.
- 프로젝트 초기에 파편화된 컴포넌트와, figma 상의 일관되지 않았던 컴포넌트의 디자인 이슈로 인해,
스토리북을 추가하여 컴포넌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하였고, 재사용성을 향상 시켜 모듈화 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더불어 팀원 간에 일관된 디자인 시스템을 공유함으로써,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화면 구성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 enum 사용을 통해 런타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오타로 인한 논리적인 오류가 발생할 확률을 줄였습니다. 이로인해, 프로젝트의 코드 품질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