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silico Frontend Part Lead (2024.11 ~ )
- Jotai에서 Zustand로 Migration 및 상태 관리 흐름 최적화
- Tanstack Query를 통한 API Fetching
- 거대한 단일 scss 파일을 scss module로 전환
- Code splitting, Lazy loading을 통한 번들 사이즈 최적화
- 컴포넌트 및 유틸리티 로직들에 대한 Unit testing 적용
- 생산성 향상을 위한 cli 툴 개발
* Swagger 기반 TypeScript type generator
* Component boilerplate generator
- 구성원들의 실력 향상 및 소통 증대를 위한 코드 리뷰 문화 정립
- Best / Worst practice에 대한 문서화 및 전파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관리 (2024.05 ~ )
- 배포 파이프라인 속도 평균 70%(8.5 mins) 가량 개선 (Parallel Build, Cache)
- Unit Test, E2E Test, Visual Regression Test 도입 및 파이프라인 구축
- Composite Action, Reusable Workflow 사용을 통한 재사용 가능한 파이프라인 설계
- Jenkins 스크립트 GitHub Actions로 교체
# 관리용 소프트웨어 운영 (2024.06 ~ )
- 전사 GitHub 라이센스 관리 및 라이센스 갱신 비용 10% 가량 절감
- Jenkins 서버 관리 Artifact 삭제 자동화
- Black Duck 서버 관리 및 스캐닝 자동화
- SonarQube 구축 및 OneSystem 전체 (10개 가량 backend api, 3개 가량 frontend app) 적용
# AWS에서 Azure로 마이그레이션 진행 (2024.06 ~ 2024.11)
- CI/CD 파이프라인 재구축 및 ArgoCD 구축 (GitHub Actions, ArgoCD)
- Self-hosted GitHub Actions Runner 구축 (AKS, Spot Instance, Helm)
- FrontDoor, NGINX Ingress 등 네트워크 구성
- 방화벽(WAF, Firewall) 정책 구성
- AWS Lambda에서 작동하던 코드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해 85% 이상 성능 개선 및 로그 보강 (Bun, Elysia, Docker, AKS)
- wrk를 통한 성능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Application Insights, Uptime Kuma, AKS)
- 생산성을 위한 툴 및 api 제작
* Webhook 발송용 Rust API (Grafana, Azure → Teams)
* WAF Rule, Container Registry 관리를 위한 Go 애플리케이션
* Kubernetes context 전환을 위한 Bash cli tool
- Kubernetes 통한 MongoDB 구축 PoC
- Kafka, Kubernetes 리소스 관리 api 등 신기술 도입에 대한 기술 검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