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FT 프로젝트 수행
- L2(ZK 롤업)인 Immutable X 위의 NFT 프로젝트로, 아이템 NFT를 장착(소각)/해제(발행)하면 다이내믹 NFT(dNFT)인 PFP의 온체인/오프체인 상태가 변경되는 특징
- 전반적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 React, Next.js 기반 웹 서비스의 FE 개발
- PFP의 이미지 렌더러, L2 민팅, 아이템 관련 이벤트 구독 등을 위한 BE/인프라 개발
- 리빌(reveal), 환불(refund) 등 과정 검증
● 페스티벌/뮤지컬 티켓 토큰화 프로젝트
- Product Owner & FE
- React Native 기반 Cross-Platform 웹/앱 서비스의 FE 개발, 팀 리딩
● 케플러(Keplr)
- Cosmos SDK 기반으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블록체인이 자산과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상호운용되는 특성을 가진 코스모스 생태계를 대표하는 블록체인 지갑
- Keplr Wallet의 기여자로 활동
- 온체인 자산 관리 대시보드인 Keplr Web Dashboard 개발
● IBCX/ION DAO
Osmosis의 ION DAO 거버넌스를 통해 관리되는, Cosmos 생태계의 인덱스 토큰(TradFi의 ETF 상품에 해당)
[비즈니스/기술적 챌린지]
-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상황 고려
- LSD(유동화된 스테이킹 파생상품)을 통한 스테이킹 기능
- Osmosis와 ION DAO의 이해관계와 네러티브 파악, 기존 블록체인 스테이커 및 토큰 홀더 설득
[업무 내용]
- Product Owner 및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직무 병행
- 이더리움 기반 인덱스 토큰의 기존 구현체(Set Protocol, Index Coop 등) 동작 방식 및 프로덕트 경험 리서치
- AppChain Thesis 에 맞게 당시 DEX 앱체인을 넘어 DeFi 체인으로 확장하고자 했던 Osmosis 블록체인에 적합한 네러티브를 수립, 리서치 수행 후 Crypto Twitter 통해 직접 공유 (기여도 100%)
- React, Next.js, Framer Motion 기반 웹 서비스의 FE 개발, CosmWasm 스마트컨트랙트 연동 진행(IBCX 코어 컨트랙트 및 Osmosis Swap Estimation을 통한 포트폴리오 자산의 실 교환 가격 피딩 등) (기여도 100%)
- Osmosis, Stride 등 해외 베이스 팀과 소통
● 메인넷 프로젝트
Product Owner로 초기 메인넷 스펙 기획에 참여 및 업무 분배, 데모 및 PoC 개발. 멀티체인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개선하기 위한 인프라 위주 방향성대로 추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