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제품 명) Web 3 기반 초개인화 영상 콘텐츠 플랫폼: VIMUSE의 설계 및 초기 성장 방향 제시
기여 내용) 제품의 비전 및 시장 진입 방향성 제시. 초기 MVP 제품 설계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블록체인 기술과 유동화 자금과 게임이론(LP& GAME THEORY)에 기반한 시장 형성방향 가이드.
제품의 비전 및 시장 방향성 제시
서비스 기획(Adobe XD, Whimsical, Google Analystic, Redash)
프로젝트 매니징(Notion - Xilo), WBS 의거 개발 로드맵 수립.
디자인 방향성 결정(Material design),
마케팅 전략 결정,
프로덕트 내 Key Contents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 설계
1. 서비스 비전 제시
해당 프로젝트는 앞으로 올 Web 3 환경(완전히 탈중앙화 된 프로덕트)를 대비하여 내부 기업의 기술적 역량, 그리고 기술 시장의 관심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 이슈가 되었던 폴리곤 체인 기반으로 제품 설계를 시작하여 완전한 탈중앙화를 목표로 제품을 제작하였습니다. 웹 프로덕트 내 모든 소스를 탈중앙화 클라우드(Filecoin Virtual Machine) 내에 업로드하여, 프로덕트의 껍데기부터 내부 로직까지 스마트 컨트랙트 위에서 돌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하였습니다.
2. 제품 초기 유저 모집 단계
플랫폼 제작이 끝난 이후, 크리에이터 및 콘텐츠 제공자들이 영상을 쉽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 자동화 된 알고리즘을 통해 업로드를 쉽게 만들었으며(Youtube 내 채널 권한 토큰 연동) 이 과정에서 신뢰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 이후 FGI를 통해 사용자가 조금 더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프로덕트 랜딩 프로세스를 제작하였습니다. 공정 이용한 영상 데이터를 발견하여 핫데이터 적재를 통해 제품 내 풍부한 콘텐츠를 확보하였고 추후에도 콘텐츠 유동성에 문제가 없도록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였습니다.
3. 결과
아쉽게도 초기 MVP 프로덕트 제작 이후 기업의 경영상 이유로 타 기업들의 프로젝트에 우선시 투입되었습니다. SI 프로젝트에 투여되어 판다 TV의 광고 플랫폼 내 백오피스 개발, 삼성 C랩에서 약 300억 투자를 받은 메타버스 원천 기술 기업에 대한 IR 컨설팅, 신규 프로덕트 및 비전 제시 등 약 6건 이상의 SI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