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 데이터 관리, KPI 설정, 서비스 기획
1. 팀 내의 Spring archiving 체계를 근본적으로 정리하고, process를 정량화해서 notion과 slack을 개편했습니다.
2. Application에 Amplitude SDK를 Event 붙이는 작업을 모두 완료해 Data-driven 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 매 기획마다 해당 작업을 빠뜨리지 않고 할 수 있는 process를 만들어냈습니다.
3. Attiribution tool에서 분석해야 하는 데이터와 서버에 쌓이는 stack 데이터 분석의 구분의 필요성을 느껴, Amplitude 분석과 Tableau 분석의 RNR을 나누고 Dashboard를 자동화했습니다.
4. 2022.7월부터 2022.10월까지 10차례의 스프린트 기획 및 product 제작을 맡았습니다. 해당 기간동안 DAU 5000% 상승, 결제 유저 weekly retention 60% 등(7주차 기준) 매우 유의미한 KPI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5. Sprint 단위의 운영과 Operation 단위의 운영을 분리해냈습니다. 기존의 sprint 방식이 VOC에 기반한 정성적 product building에 가까웠다면, 정량적 근거와 정성적 근거의 채널을 분리해내고, 특히 정성적 근거의 분석과 기획을 operation 딴에서 해결하도록 조직 체계를 재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CS와 VOC 대응 및 수집 메뉴얼을 신설하고, 이에 따른 기획 아이디어가 유실되지 않도록 Notion에서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통합 관리하도록 아카이빙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