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본부(현 플랫폼 사업본부) 총괄 PM]
1. 외부 (KT 등) 협력 프로덕트 개발 총괄 PM
1) 프로덕트 기획 총괄 및 의사결정 진행 (서비스 기획 초기부터 런칭 단계까지 진행)
2) 협력 프로젝트 개발 일정 관리 및 인원 별 WBS 작성 (6개월 / 1주 단위)
3) KT 등 협력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담 (미팅 / 메일 / 문서 / 메신저 / 브리핑 등)
4) 개발/기획/디자인 인력 산정 및 관리 (10명 ~ 20명 내외)
5) KT 등 외부협력사, 매니지먼트 팀, 플랫폼기획팀과의 협업을 통한 콘텐츠 제작 진행
6) 프로덕트 기획 문서 제작 기여 및 외부 협력사 브리핑 진행
7) API 연동 규격서 검토 및 공유, 기타 커뮤니케이션 문서 작성
8) Product Design, Android Dev, DevOps, BE 등 PRD를 이용한 내부 개발 요청
9) 개발 / 디자인 단계에서의 방향성 검토 및 전체 의사결정 진행
2. 개발본부(현 플랫폼 사업본부) 내부 프로덕트/프로젝트 관리
1) 개발자 별 티켓 할당(WEB FE, BE, DevOps, Android Dev, iOS Dev)
2) 티켓 별 포인트 제도 및 플래닝 포커 도입으로 인한 프로젝트 인력 및 일정 관리
3) 내부 ERP 시스템 개발 언어 변경 건 총괄
(초기 페이지 로드 시간 1.97s -> 0.21s 단축 / 모든 콘텐츠 로드 시간 16.47s -> 1.42s 단축,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신규 기능 3종 개발, 안정성 향상 등의 성과 달성)
4) 1M Studio WEB/APP 개선(UI, UX 리뉴얼 의사결정 및 일정/인력관리)
5) 내부 프로덕트/프로젝트 WBS 작성을 이용한 인력 및 일정 관리
6) 외부 기술적 교육(컨퍼런스, 강의 등) 탐색 및 추진
7) 티켓 기반 업무 진행도 / 팀원 역량 평가 (리드 개발자 및 팀장의 의견 근거 참조)
8) QA Management(QA 기획 및 리드, Sign-OFF 등 제반 관리)
9) 개발팀 운영 및 방향성 의사결정
3. 정부과제 제안 및 추진
1) 메타버스, AI 등 산업 관련 정부과제 제안서 2종 작성
2)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제페토, ifLand 등) 시장 조사 및 분석
3) 3D MotionCapture DATA 기술 문서 검토 및 자료 조사
4) 정부 과제 관련 단계 별 사업 전략 수립 및 타당성 검토
4. 업무 프로세스 검토 및 정립
1) WBS 기반 업무 프로세스 주기적 검토
2) 플랫폼기획팀, 프로덕트디자인팀과의 협업 프로세스 정립 (Agile/Scrum)
3) QA 프로세스 정립
4) 외부 협력사와의 개발 프로세스 정립
5) 주간 보고 도입 및 체계화 (C Level, CEO 보고 및 팀 내부에 투명화된 내역 공유)
5. 사내 Slack BOT 신규 시스템 개발
1) 회의실 예약 Slack BOT 기획 및 PM, 가이드 제작
2) 스튜디오 대관 Slack BOT 기획 및 PM, 가이드 제작 (리소스 70% 감소 성과 달성)
[신규 서비스 프로덕트 제작 및 관리(Product Owner)]
[업무 내역]
1. 신규 Product 기획
1) 시장 조사 (시장 규모, 사용자 규모, 시장 내 입지, 경쟁 서비스 분석 및 차별화)
2) 유저 인터뷰 및 UX 리서치, UT 진행
3)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PRD) 작성 기여
4) 프로젝트 개발 의사 결정
5) 신규 서비스 포함 콘텐츠 기획 및 촬영
6) Product Design / WEB FE / Android Dev / iOS Dev / BE 커뮤니케이션 및 기능 개발 요청
- Android 96건
- iOS - 54건
- WEB Front-End - 144건
- Back-End 95건
7) Product 전체 QA Lead 및 Sign-OFF 의사결정
- WEB Product : 816 TestCase / 64 Issue Fix
- APP Product : 1474 TestCase / 133 Issue Fix
2. 신규 서비스 품질보증(QA) 프로세스 정립 및 전사 교육 후 적용
1) QA 프로세스 정립(개요 및 목적 포함)
2) 테스트 환경 구성(서버 정의 및 브라우저, 기기 정의)
3) TestCase 규칙 및 규격 작성
4) 테스트 기법 교육
5) QA Task/Issue Report 양식 제작 및 교육 (상태 / 이슈 우선순위 / 서버 / 등급 등)
6) Sign-OFF 제도 도입 및 의사 결정
7) 테스트 계정 규칙 정의 및 생성
8) 마켓 리젝 사유 보고 체계화 및 템플릿 생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