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 업무
1. 웹 백엔드 개발 및 운영 담당
- Java, Spring Cloud, Spring Boot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및 운영 담당
- Python, Flask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및 운영 담당
2. CI / CD 파이프라인 개발 및 운영 담당
- Jenkins, ArgoCD 기반의 CI / CD 파이프라인 개발 및 운영
3. 클라우드 인프라 담당
- AWS, NHN Cloud (공공) 인프라 운영 담당
4. Docker / Kubernetes 운영 담당
- NHN Cloud (공공)의 NCR / NKS 기반 Docker, Kubernetes 관리
5. 보안 관련 담당
- CCE, CVE 취약점 모니터링
- 시큐어 코딩 가이드 및 Sparrow Cloud 기반의 시큐어 코딩 취약점 모니터링
- 클라우드 보안 모니터링
경력
1. 학교 대상 솔루션 (설문조사/분석, 시설관리, 교우관계 분석) 공공 SaaS 개발 (2023.06.07 ~ )
ㄱ. 설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Java / Spring Boot / Spring Cloud Kubernetes / MongoDB
- 설문조사 제작 및 배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HWP / Word 파일 다운로드 API를 제외한 모든 API 개발 (기여도 90%)
ㄴ. 분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Python / Flask / MongoDB
- 설문조사 응답 데이터를 통해 통계분석을 제공하는 서비스
- 패키지 구조 및 공용 Decorator, 로깅 관련 설정 담당 (기여도 10%)
ㄷ. 인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Java / Spring Boot / Spring Cloud Kubernetes / PostgreSQL
- 설문조사, 시설관리, 교우관계 분석 솔루션 통합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모든 API 개발 (기여도 100%)
ㄹ. 시설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Java / Spring Boot / Spring Cloud Kubernetes / MongoDB
- 관리 시설 등록, 시설 점검표 제작, 시설 점검, 시설 점검 현황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모든 API 개발 (기여도 100%)
ㅁ. 포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Java / Spring Boot / Spring Cloud Kubernetes / PostgreSQL
- 통합 포털, 가이드 사이트에 필요한 공지사항, FAQ, 간편문의,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
- 모든 API 개발 (기여도 100%)
ㅂ. 통합 어드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Java / Spring Boot / Spring Cloud Kubernetes / PostgreSQL
- 설문조사, 시설관리, 교우관계 분석, 인증 등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를 관리하는 사이트
- Nginx Ingress Controller + Ingress로 내부망 접근만 허용
- 페이지 퍼블리싱을 제외한 모든 기능 개발 (기여도 80%)
ㅅ. 교우관계 분석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 Python / Flask / MongoDB
- 교우관계 설문조사 제작, 배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교우관계 분석을 제공하는 서비스
- 교우관계 분석 결과 제공 API를 제외한 API 개발 (기여도 60%)
ㅇ. API 게이트웨이 개발
- Java / Spring Cloud Gateway / Spring Cloud Kubernetes
- DMZ Zone에 위치하여 Nginx의 요청을 Private Zone에 있는 각 마이크로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요청 로드밸런싱
- Spring Cloud Kubernetes Discovery Client, LoadBalancer를 통해 Kubernetes Service 기반으로 로드밸런싱
- 모든 기능 개발 (기여도 100%)
ㅈ. NHN Cloud (공공), NCR, NKS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 NHN Cloud (공공) 에서 Bastion, Nginx, DB 인스턴스를 구축하고 NKS를 통해 워커 노드 3대를 추가로 구성
- OS는 Rocky Linux 8.8 (일부는 8.9)
- NCR로 개발 / 운영 Docker Image 관리
- Kubernetes 1.29.3 버전
- 기본 인프라 세팅은 MSP에서 하였으며 세부 세팅은 직접 진행 (기여도 100%)
ㅊ. CI / CD 파이프라인 구축 (Jenkins, ArgoCD)
- Jenkins는 별도의 인스턴스로, ArgoCD는 워커 노드 중 1대 단일 노드에 구성
- Helm Chart를 사용하여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를 클러스터에 배포하고 업데이트
- 보안 그룹 및 Nginx Ingress Controller + Ingress로 내부망 접근만 허용
- 기여도 100%
ㅋ. 모니터링 환경 구축 (Prometheus, Grafana, Jaeger, Fluentbit, Fluentd)
- Prometheus, 각종 Exporter로 메트릭 수집 (마이크로서비스, DB 등)
- Jaeger로 마이크로서비스 분산 추적 정보 수집
- Fluentbit(설치형 / 사이드카 컨테이너 / DaemonSet)으로 각종 로그 수집, Fluentd로 forward하며 Fluentd가 Elasticsearch로 저장
- Grafana로 로그 및 메트릭 정보 시각화
- Nginx Ingress Controller + Ingress로 내부망 접근만 허용
- 기여도 100%
ㅌ. K-PaaS 인증, 클라우드확인제 2023년 12월 취득, 2024년 갱신 예정
ㅍ. CSAP SaaS 표준 등급 인증 진행 중
- CCE, CVE 취약점 모니터링 및 보완 담당, 클라우드 인프라 보안 담당
- CCE는 KISA측 가이드라인으로, CVE는 OpenVAS 및 CVE 취약점 관련 사이트 주기적 확인
- 시큐어 코딩 취약점의 경우 Sparrow Cloud로 주기적 확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