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자 경험 개선] APP 리뉴얼 출시 프로젝트 ㅣ2024.08 ? 2024.12, 4개월간
- 20만명 회원, 1700여개 가맹점 대상 ‘픽코’ 앱 리뉴얼 프로젝트 운영
(1) 상황 및 목표
- 앱 오류 개선
· ‘픽코’ 앱 장기 미 업데이트에 따른 결제 오류, 좌석 선택 오류 등 잦은 이슈 발생
· 지문 인식기 출입 제어 오류 발생 (월 평균 100건+ 발생)
- 사용자 경험 개선: 스터디카페 점주 및 회원 불만 증가에 따른 매출 하락 방어 필요
- KPI: 기존 회원(20만명) 100% 전환, 가맹점(1,700곳) 100% 입점, MAU 100만, 매출 100억
(2) 수행 역할
- APP 리뉴얼 프로젝트 진행 (기여도 70%)
· 구글 스프레드시트 활용 WBS 설계 및 픽코 APP 메뉴 기능 정의
· 우선순위 조정(w/개발팀) 및 JIRA 활용 task 관리 통한 프로젝트 일정 리딩
- Figma 기반 메뉴 구조 트리 및 User-flow 설계: 회원가입, 이용권/좌석 구매 오류 개선
- 위치 연동 신규 시스템 추가 기획 및 화면 설계
· 지문 인식 단독 방식→매장 내 위치 기반 출입 연동 기능 추가 기획
· 매장 반경 100m 이내일 경우 ‘입실’ 버튼만 클릭하면 출입문 열리는 방식 적용
- 리뉴얼 APP 배포 전, 테스트 매장 직접 방문 통한 QA
- 점주 사용 어드민과의 기능 연동 QA 진행
(3) 성과
- 업무 효율화 통한 출시 목표일 대비 7일 단축 달성(목표 12월 23일 → 실제 런칭 12월 16일)
- 사용자 긍정적 피드백: 위치 기반 출입 시스템 통한 편의성 향상, UI 개선 통한 사용성 증대
- 지하 매장의 위치 정확성 저하 개선안 마련: 2차 APP 업데이트 위한 QR 인식 기능 개선안 도출
2. [신규 기능 구축] 정산 프로세스 최적화(리딩) ㅣ2024.10-2024.11, 2개월간
(1) 상황 및 목표
- 정산 완료된 이용권도 점주가 직접 환불 가능하여 재정산 리소스 과다 투입 상황
- 정산 대상 이용권 누락 건수 월 평균 20건 발생
- KPI: 재정산 리소스 감소(주 8시간→1시간), 정산 누락 건수 0건
(2) 수행 역할
- 문제 정의: 다층적 시각에서의 업무 비효율화 원인 분석
· 내부) 운영지원팀/재무회계팀 업무 프로세스 파악 인터뷰 통한 업무 비효율화 정의
· 고객) 점주 입장에서의 불편 요소 발견 및 기능 정의 구축: 정산 여부 확인 기능 추가 필요
- 신규 기능 기획
· 내부) 정산 대상 내역을 일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신설 통한 누락건 사전 예방
· 고객) 정산 여부 확인 기능 + 정산 완료된 이용권은 점주가 환불 못하도록 기능 제한 추가
- 전체 task 일정 관리 및 리딩
- Figma 활용 환불 제한 User-flow 설계 및 기능 정의
- 환불 제한 기능 QA 및 새로 개편된 어드민 관련 내부 CX팀 교육 진행
(3) 성과
- 정산 소요 시간 87.5% 감소 목표 달성(주 2회/4시간→주 1회/1시간)
- 정산 대상 이용권 누락 제로화 달성 (월 20건→0건)
3. [업무 효율화] 키오스크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리딩) ㅣ2024.04-2024.10, 6개월간
(1) 상황 및 목표
- 신규 인수한 키오스크 브랜드 내부 통합화 추진 (기존 솔루션으로 대체)
- 장애 발생 시 신속 대응: 개발팀 리소스 1회당 약 4.5시간 소요되는 비효율 발생(주 3회씩 발생)
- KPI: 인수 브랜드 306곳 100% 기존 솔루션으로 교체, 서버 수익 2,000만원+ 증가
(2) 수행 역할
- 요구 사항 분석: 사용자 입장 개선 위한 점주 대상 인터뷰, 가맹점 매장 환경 분석
- 신규 정책 수립: ‘키오스크 릴레이 출입 버전’ 도입 추진 위한 프로젝트 일정 수립
· 키오스크에서 ‘입실’ 버튼 클릭 시 스터디카페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기능
- 화면 설계 및 서비스 기획
· Figma 활용 ‘키오스크 릴레이 버전’ User-Flow 설계, 화면 기획, prototype 제작
- 솔루션 교체 위한 프로젝트 프로세스 수립 및 리딩(w/운영지원팀, 개발팀, 디자인팀)
- 내부 교육 진행: 운영지원팀, CX팀, 설치팀 대상 신규 기능 및 상세 프로세스 안내
(3) 성과
- 인수 브랜드의 키오스크 릴레이 출입 버전 도입 86% 달성(306곳 중 263곳)
- 키오스크 릴레이 출입 버전 도입 후 서버 수익 66% 증가(목표 2,000만원 초과 달성)
4. [자동화 시스템 개발] 얼굴 인식 출입 프로젝트(리딩) ㅣ24.02-24.04 (2개월간)
(1) 상황 및 목표
- 노인 요양 시설 수급자의 출퇴근 시간 수기 체크 통한 업무 비효율 및 지원금 신청 신뢰성 부족
- 얼굴 인식 기능 통한 차량 탑승/하차, 출/퇴근, 외출 시간 자동 기록 시스템 구축 필요
(2) 수행 역할
- 요구 사항 분석: 요양 보호사 인터뷰 통한 유저 VOC 분석
- 화면 설계 및 서비스 기획: 웹페이지 기반 얼굴 인식 기능 User-flow 설계 및 기획
- 차량 탑승/하차 시간, 수급자 정보 확인 위한 어드민 화면 기획 및 프로토타입 제작
- 정책 수립: 내부 설치팀과 현장 방문 통한 기기 설치 리딩 및 QA 진행
(3) 결과
- 배포 진행 중 회사 내부 비용 이슈로 프로젝트 중단 (얼굴 인식 기록 DB화에 따른 서버비 이슈)
- 투입 비용 철저한 분석 및 상용화 시 발생하게 될 비용 항목 구체화 필요성 체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