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컨텐츠 플랫폼 덕스티켓'
덕스티켓은 연극, 영화 시사회, 공연, 전시회, 뮤지컬과 같은 문화 컨텐츠의 티켓을 응모한 사용자들에게 추첨을 통해 무료로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코로나가 시작하기 전 플랫폼이 출시되었으며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플레이스토어에 추천 앱까지 올라갔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모든 문화 생활이 중지됨으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출시때부터 앱을 만진 건 아니지만 입사 이후부터 앱 고도화 작업으로 리뉴얼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동안 진행했던 업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구글 플레이, 앱스토어 사용자 통계 자료 정리 및 공연 정보 블로그 등록
앞으로 나아가야할 앱의 방향이나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방문율(MAU/WAU), 새 사용자 수, 응모 수 등 수치를 매일 정리했습니다. 수치들로 인해 진행중이었던 '연극 블록체인화'의 지표를 만들 수 있었으며 실제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또한 무료 이벤트 공연 정보들을 보다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공식 블로그 등에 게시글을 올려 앱에 진입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 당첨 후 취소 기능(패널티 적용)
코로나가 잠잠해졌을 때, 정부 지침에 따라 협력 중인 몇 개의 공연사들은 연극을 재개했습니다. 사용자 수는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그만큼 무료 응모 후 당첨이 되어도 노쇼하는 사용자들 혹은 카톡 관리자 채널로 당첨된 것을 취소해달란 메세지를 많이 생기게 돼서 직접 건의해서 앱에 개발했던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패널티를 적용해서 사용자들에게 응모할 때 신중함을 요구했으며 더 이상 카톡 관리자 채널에서는 '당첨 취소' 메세지를 받지 않아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습니다.
- 비대면 팬미팅
연극은 끝나고 나면 배우들과 팬미팅 시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객석 중 반절도 못 채우기 때문에 비대면으로 팬미팅을 진행하기 위해서 실시간 스트리밍 및 채팅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지침이 몇 주 간격으로 변경됨에 따라 기능을 오픈할 수는 없었습니다.
- 연극 블록체인화
음악과 달리 연극과 같은 문화는 저작권에 관련된 생태계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덕스티켓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자 연극을 NFT화 하기 시작했습니다. 블록체인 개발을 위해 solidity 언어로 된 여러 회사들의 참고하여 대표님과 함께 함수들을 찾았고 플랫폼 내에 코인 유동성을 정의하는 아키텍처를 만들어 백서에 기재했습니다. 요구했던 UI/UX는 전면 리뉴얼했지만 다른 부서가 아무런 준비되지 않아 플랫폼 확장의 시작은 못 보고 퇴사를 했습니다.
이 외에도 실무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많았지만 모두 외주 프로젝트여서 개발만 담당을 했습니다.(포트폴리오에 기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