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 개발, 서비스 출시 및 유지/보수
- ReactJS과 Media Query를 이용한 반응형 웹 페이지 개발
- styled-components 기반 page 단위 UI 개발
- Redux 기반 상태 관리
- axios를 통한 REST API 통신 구현
- Lottie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구현
- Github를 활용한 버전 관리 및 코드 리뷰
2. 팀원들과 협업을 통한 정확하고 원활한 결과물 도출
일주일에 1번 스프린트에서 팀원들과 서비스 운영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고 팀별로 주 단위 성과를 얘기, 업무를 정하여 목표를 확실시하였습니다. 디자인 팀과는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여 어떻게 협업을 할 것인지에 대하여 조율하였습니다.
또, 일주일에 3번 팀 내의 개발자들과 가벼운 스크럼을 통해 주 단위 업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원활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공유하였습니다.
체계적인 시스템에서 팀원들과 협업 경험이 없었던 저에게는 제작 과정에서 버전 관리 등 여러 차례 혼동이 생길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저희 팀은) 이렇게 해결했습니다.
✔️ 같이 작업하는 React 개발자와 Github를 이용하여 버전 관리를 하였습니다. 저에게 새로운 태스크가 생기면 master 브랜치의 코드를 pull 받아 해당 태스크의 작업을 하였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코드 리뷰 과정을 거쳐 코드 퀄리티를 높인 후 팀원 전부가 approve 했을 시에만 master 브랜치에 merge 하였습니다.
또, 코드 통일, 개선을 위해 끝없이 소통하였습니다.
✔️백 엔드와의 통신에서 데이터가 잘 넘어오는지 계속해서 테스트하고, 테스트 효율을 높이기 위해 postman을 사용하였습니다.
✔️Figma를 기반으로 제작된 UI에 따라 개발을 하였고, 문제가 생기면 즉시 디자이너와 소통하여 이견을 조율했습니다.
협업을 위해 사용했던 도구들입니다.
✔️팀원들과의 협업 → Slack, Dropbox, Notion, Asana
✔️디자이너와의 협업 → Zeplin, Figma, AdobeXD
✔️개발자와의 협업 → Github
더보기